홈
SKC, 3분기 실적발표…”사업 전반 회복세 지속∙신사업 성과 가시화”
● 이차전지 소재, 북미향 판매 확대…말레이시아 공장 판매량 늘며 수익성 개선● 테스트 소켓∙장비 사업 합병 시너지 본격화…글라스기판 첫 양산 샘플 고객사 인증절차 돌입● 현금 유입 확대로 재무건전성 강화 박차…핵심 사업 중심의 효율적 자본 구조 완성 목표SKC는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060억원, 영업손실 528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공시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9% 늘었고 영업손실은 175억원 개선됐다. 2년 만에 매출 5천억원을 회복하며 뚜렷한 매출 성장과 손익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이차전지 소재사업은 매출 1,667억원, 영업손실 350억원을 기록했다. 북미향 판매가 크게 확대되며, 전분기 대비 매출이 31% 늘었다. 특히 LFP 기반 에너지저장장치(ESS)향 동박 판매가 큰 폭으로 증가해 매출 성장세를 뒷받침했다. 말레이시아 공장 판매량도 꾸준히 확대되며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다. 반도체 소재사업은 매출 645억원, 영업이익 174억원을 기록했다. 테스트 소켓과 장비 사업의 합병으로 시너지가 본격화되며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테스트 소켓 사업은 AI 중심 비메모리향 고부가 제품 판매가 증가하면서 분기 영업이익률 33%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다. SKC가 세계 최초 상업화를 추진하고 있는 글라스기판은 조지아 공장에서 첫 양산 샘플을 제작하고 고객사 인증 프로세스를 시작했다. 시제품은 시뮬레이션 평가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으며 내년도 상업화 목표를 향해 순조롭게 나아가고 있다. 화학사업은 매출 2,735억원, 영업손실 74억원을 기록했다. 안정적인 수요를 기반으로 견조한 매출 흐름을 이어갔고 원료가 안정 등에 따라 적자 폭도 전분기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됐다. 4분기에는 계절적 요인에 따른 PG 수요 확대가 예상되며 원가 개선 노력도 지속할 예정이다. 재무적 성과도 주목할 만하다. 영구 전환사채(EB) 발행과 반도체 비주력 사업 매각 등으로 현금 유입을 크게 확대하며 재무건전성 강화에 박차를 가했다. SKC는 연말까지 리밸런싱 과제를 마무리하고 핵심 사업 중심의 효율적 자본 구조를 완성해 나갈 방침이다. SKC 관계자는 “각 사업의 경쟁력 강화와 수익성 중심의 성장 구조 확립에 집중하고 있다”며 “글라스기판을 포함한 신사업의 성과 창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한편 중장기 재무안정성 강화에도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끝]
2025-11-05
SKC, 2분기 실적발표…”주력사업 매출 성장 속 재무건전성 강화”
l 2025년 2분기 매출 4,673억원·영업손실 702억원 기록…전분기 比7%·6% 개선l 반도체 소재사업 영업이익률 30% 달성…순차입금 감소·신용등급도 수성l 이차전지 소재사업 수익성 강화 집중…글라스기판 양산 위한 샘플 인증 주력 SKC(대표이사 박원철)가 2025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673억원, 영업손실 702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약 7% 증가했으며 영업손실은 6%가량 개선됐다.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이차전지 소재사업은 매출 1,273억원, 영업손실 381억을 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이 29% 늘며, 7분기 만에 천억원대를 회복했다. 주요 고객사의 북미 공장 가동 본격화로 전분기 대비 북미 시장 판매량이 44% 증가하며 매출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다. 반도체 소재사업은 매출 606억원, 영업이익 144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각각 37%, 112%가량 증가했다. 주요 고객사의 R&D, 양산 일정 재개에 따른 비메모리 분야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영업이익률 또한 30% 수준으로 올라섰다. 화학사업은 전방 수요 부진과 관세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지만, 원료가격 하락으로 영업손실을 소폭 줄였다. 재무적 성과도 눈에 띈다. 비핵심 사업의 선제적 유동화와 자사주를 활용한 영구 교환사채 발행으로 전분기 말 대비 순차입금을 5천억원 감소시켰다.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신용등급을 전년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성과도 거뒀다. SKC는 하반기에도 반도체 소재사업에서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다지면서 이차전지 부문의 수익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반도체 소재사업은 비메모리 고객사의 신규 물량 공급 확대로 수익성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차전지 소재사업은 주요 고객사의 말레이시아 공장 신규 인증을 추진하며 수익성 중심의 포트폴리오 강화에 나선다. 글라스기판 사업은 하반기 제품 상업화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 현재 미국 조지아주 1공장에서 시제품 제작이 진행 중이며, 양산을 위한 시제품 인도와 인증 절차에 집중해 나갈 방침이다. SKC 관계자는 “불확실한 시장 환경 속에서도 더욱 유연한 전략으로 대응해 나가겠다”며 “하반기에도 주력사업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신사업 가속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 등을 적기에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끝][2025년 2분기 경영실적 *(단위: 억원)]
구분
(단위:억원)
2024년
2분기
2025년
1분기
2025년 2분기
전년비
전분기비
매출
4,534
4,385
4,673
+139
+288
영업이익
△616
△744
△702
△86
+42
2025-07-30